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75kg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75kg급 경기는 2004년 8월 21일에 진행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의 탕궁훙이 인상 122.5kg, 용상 182.5kg, 합계 305.0kg을 기록하며 금메달을 획득했고, 용상과 합계는 세계 기록으로 인정되었다. 대한민국 장미란은 인상 130.0kg, 용상 172.5kg, 합계 302.5kg으로 은메달을, 폴란드의 아가타 브루벨은 합계 290.0kg으로 동메달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4년 여자 역도 -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63kg급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역도 여자 63kg급에서는 나탈리아 스칼쿤이 우크라이나 대표로 금메달을, 한나 바치우슈카와 타치아나 스투칼라바가 벨라루스 대표로 각각 은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한나 바치우슈카는 인상에서 세계 기록을, 나탈리아 스칼쿤은 용상에서 올림픽 기록을 경신했다. -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63kg급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역도 여자 63kg급에서는 나탈리아 스칼쿤이 우크라이나 대표로 금메달을, 한나 바치우슈카와 타치아나 스투칼라바가 벨라루스 대표로 각각 은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한나 바치우슈카는 인상에서 세계 기록을, 나탈리아 스칼쿤은 용상에서 올림픽 기록을 경신했다. -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남자 +105kg급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남자 +105kg급은 2004년 8월 25일에 진행되었으며, 이란의 호세인 레자자데가 금메달, 라트비아의 빅토르스 셰르바티스가 은메달, 러시아의 벨라 무흐타로프가 동메달을 획득했고 대한민국의 안용권은 10위를 기록했다. - 2004년 하계 올림픽 여자 종목 -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여자 축구는 10개국이 참가하여 미국이 브라질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크리스티아니 호제이라와 비르기트 프린츠가 득점왕을 공동 수상하고 일본과 스웨덴이 FIFA 페어 플레이상을 공동 수상했다. - 2004년 하계 올림픽 여자 종목 -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63kg급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역도 여자 63kg급에서는 나탈리아 스칼쿤이 우크라이나 대표로 금메달을, 한나 바치우슈카와 타치아나 스투칼라바가 벨라루스 대표로 각각 은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한나 바치우슈카는 인상에서 세계 기록을, 나탈리아 스칼쿤은 용상에서 올림픽 기록을 경신했다.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75kg급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2004년 아테네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75kg급 | |
대회 | 2004년 하계 올림픽 |
종목 | 역도 |
세부 종목 | 여자 +75kg급 |
개최지 | 그리스, 아테네 |
경기장 | 니카이아 올림픽 역도 경기장 |
날짜 | 2004년 8월 21일 |
참가 선수 | 12명 |
참가 국가 | 11개국 |
메달리스트 | |
금메달 | 탕궁홍 (중국) |
은메달 | 장미란 (대한민국) |
동메달 | 아가타 브루벨 (폴란드) |
올림픽 역도 여자 +75kg급 | |
이전 대회 | 2000년 |
다음 대회 | 2008년 |
기타 | |
외부 링크 | Athens 2004: Weightlifting – Women's +75 kg Weightlifting at the 2004 Athens Summer Games: Women's Super Heavyweight |
2. 경기 일정
모든 시간은 동유럽 서머 타임 (UTC+03:00) 기준이다.
날짜 | 시간 | 경기 |
---|---|---|
2004년 8월 21일 | 16:30 | A조 |
2. 1. 경기 날짜 및 시간
모든 시간은 동유럽 서머 타임 (UTC+03:00) 기준이다.날짜 | 시간 | 경기 |
---|---|---|
2004년 8월 21일 | 16:30 | A조 |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이전의 세계 기록과 올림픽 기록은 다음과 같다.
3. 경기 기록
종목 선수 기록 장소 날짜 인상 딩메이위안 (중화인민공화국) 137.5kg Vancouver|밴쿠버영어 (캐나다) 2003년 11월 21일 용상 탕궁훙 (중화인민공화국) 175kg 알마티 (카자흐스탄) 2004년 4월 11일 합계 탕궁훙 (중화인민공화국) 302.5kg 알마티 (카자흐스탄) 2004년 4월 11일 인상 딩메이위안 (중국) 135kg 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 2000년 9월 22일 용상 딩메이위안 (중국) 165kg 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 2000년 9월 22일 합계 딩메이위안 (중국) 300kg 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 2000년 9월 22일
3. 1. 세계 기록
종목 | 선수 | 기록 | 장소 | 날짜 |
---|---|---|---|---|
인상 | 딩메이위안 (중화인민공화국) | 137.5kg | Vancouver|밴쿠버영어 (캐나다) | 2003년 11월 21일 |
용상 | 탕궁훙 (중화인민공화국) | 175kg | 알마티 (카자흐스탄) | 2004년 4월 11일 |
합계 | 탕궁훙 (중화인민공화국) | 302.5kg | 알마티 (카자흐스탄) | 2004년 4월 11일 |
3. 2. 올림픽 기록
종목 | 선수 | 기록 | 장소 | 날짜 |
---|---|---|---|---|
인상 | 딩메이위안 (중국) | 135kg | 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 | 2000년 9월 22일 |
용상 | 딩메이위안 (중국) | 165kg | 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 | 2000년 9월 22일 |
합계 | 딩메이위안 (중국) | 300kg | 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 | 2000년 9월 22일 |
4. 경기 결과
순위 | 선수 | 그룹 | 체중 | 인상 (kg) | 용상 (kg) | 합계 | ||||||
---|---|---|---|---|---|---|---|---|---|---|---|---|
1 | 2 | 3 | 결과 | 1 | 2 | 3 | 결과 | |||||
align=left| | A | 119.52 | 122.5 | 122.5 | 172.5 | 182.5 | 182.5 | 305.0 | ||||
align=left| | A | 113.34 | 125.0 | 130.0 | 130.0 | 165.0 | 172.5 | 172.5 | 302.5 | |||
align=left| | A | 124.68 | 125.0 | 130.0 | 130.0 | 160.0 | 160.0 | 290.0 | ||||
4 | align=left| | A | 93.69 | 125.0 | 127.5 | 127.5 | 152.5 | 155.0 | 155.0 | 282.5 | ||
5 | align=left| | A | 88.14 | 122.5 | 127.5 | 130.0 | 130.0 | 150.0 | 150.0 | 280.0 | ||
6 | align=left| | A | 131.95 | 125.0 | — | — | 125.0 | 150.0 | 152.5 | 155.0 | 155.0 | 280.0 |
7 | align=left| | A | 156.19 | 125.0 | 125.0 | 155.0 | 155.0 | 280.0 | ||||
8 | align=left| | A | 120.57 | 120.0 | 125.0 | 125.0 | 145.0 | 150.0 | 152.5 | 152.5 | 277.5 | |
9 | align=left| | A | 94.37 | 120.0 | 120.0 | 145.0 | 150.0 | 150.0 | 270.0 | |||
10 | align=left| | A | 108.52 | 90.0 | 92.5 | 95.0 | 95.0 | 122.5 | 125.0 | 125.0 | 220.0 | |
11 | align=left| | A | 136.85 | 90.0 | 95.0 | 95.0 | 122.5 | 125.0 | 125.0 | 220.0 | ||
12 | align=left| | A | 83.70 | 80.0 | 85.0 | 85.0 | 100.0 | 100.0 | 185.0 |
4. 1. 메달리스트
중화인민공화국 (CHN)
대한민국 (KOR)

폴란드 (POL)